K 패스는 대중교통 이용 시 일정 금액을 환급해 주는 것으로 교통비 부담을 조금이나마 덜 수 있는데요. 만약 한 달에 대중교통비로 7만 원을 지출한다고 하면 연간 17만 원에서 최대 44만 원까지 환급받으실 수 있습니다. K 패스 카드 신청방법 아래에서 빠르게 안내해 드리겠습니다.
K패스 혜택
K 패스로 대중교통 이용 시 이용금액의 20%에서 최대 53%까지 환급받으실 수 있습니다. 월 15회 이상 이용 시 환급받으실 수 있고, 월 최대 60회까지 지급되는데요. 만약 대중교통비로 한 달에 7만 원을 지출한다고 했을 때, 일반인은 1만 4천 원, 청년은 2만 천 원, 저소득층은 3만 7천 원을 환급받으실 수 있습니다. 연간으로 보면 17만 원에서 44만 원 수준입니다. K 패스 안쓸 이유가 없겠죠?
일반 | 청년 | 저소득 |
20% | 30% | 53% |
K패스 카드 이용방법
K 패스 홈페이지나 앱을 통해 회원가입 후 교통비를 환급받으실 수 있습니다. 이때 회원가입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K패스 카드가 있어야 하는데요. 아래에서 K패스 카드 발급방법을 빠르게 안내해 드리겠습니다. 알뜰교통카드 사용자라면 신규발급 없이 전환신청을 통해 계속 사용할 수 있습니다. 그 내용도 아래에서 함께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K패스 카드 신청방법
11개 카드사 중에서 원하시는 교통카드를 골라 신청하여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 각 카드사마다 추가로 대중교통비 10% 할인, 올리브영 할인, 연회비 면제 등 다양한 혜택이 있으니 꼼꼼히 확인하셔서 본인에게 가장 유리한 카드를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. 아래 K패스 홈페이지에서 발급가능한 카드를 한 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- 알뜰교통카드 전환신청
이미 알뜰교통카드를 사용 중이시라면 K패스 전환신청을 통해 사용 중인 카드와 계정 그대로 K패스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. 알뜰교통카드 앱이나 누리집에서 신청하실 수 있으며, 알뜰교통카드 번호, 주민번호 입력 후 약관 동의하시면 전환이 완료됩니다.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조회 및 K패스로의 전환은 6월 30일까지만 가능하니 기간 내에 전환 신청하시기 바랍니다.
★ ★ ★
알뜰교통카드가 출발과 도착을 앱에서 눌러야 해서 불편함이 있었는데요. K패스 카드는 이런 단점을 보안하고 카드 혜택도 커서 인기가 상당하다고 합니다. 지금 K 패스 카드신청이 몰리면서 발급이 지연되고 있다고 하니 서둘러 준비하셔서 대중교통비 절약 혜택 받으시길 바랍니다.
K 패스 기본 할인에 카드사별 추가 할인까지 나에게 맞는 카드는?
K-패스 기본 할인에 카드사별 추가 할인까지, 알뜰하게 교통비 줄여보자냥~
다양한 종류의 K-패스 카드 카드사별로 혜택이 다르다?! 과연 나에게는 어떤 카드가 맞을까? 제대로 알아...
blog.naver.com